총 게시물 319건, 최근 0 건
   

남원 역사문화의 보고 “龍城誌” (남원포유 펌0

글쓴이 : 양경님 날짜 : 2019-07-29 (월) 16:37 조회 : 347


남원 역사문화의 보고 “龍城誌”


 

남원은 남방의 근원이 되는 천년의 고도다. 특히 남원은 기록물이 많은데, 대표적으로 알려진 춘향전, 흥부전, 최척전(홍도전), 변강쇠전 그리고 만복사저포기 등의 고전은 물론, 전북권의 문집 중 남원 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70%이상을 차지한다고 하니 남원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록문화의 보고라 하겠다.

그 중 대표적인 남원의 기록물은 용성지이다. 용성지는 다른 기록물과는 다르게 남원에 관한 종합보고서이다. 개인의 문집은 개인의 경험과 행적만 기록되었지만 용성지는 그것을 모두취합해서 균형있게 편집했다는 뜻이다.

용성지편찬과 체제는 조선 조정에서 만든 여지승람(輿地勝覽), 지방에서 만든 평양의 평양지나 순천의 승평지등의 영향을 받았다. 여지승람은 성종 때(1481, 성종 12) 처음 만들어진 후에 중종 때(1530, 중종 25) 증보되고 숙종 때 다시 증보되었는데, 숙종 때의 자료가 용성지편찬의 기본 자료가 되었다.

용성지는 역사적으로 크게 두 차례 편찬되고 여러 차례 보완되었다. 1699(숙종 25)에 남원부사 이구징(?)은 이도(李燾최여천(崔與天) 등에게 여지승람의 기초자료 수집과 함께 용성지를 찬수하도록 하였다. 이 작업은 3년 후인 1702년 완성되었다. 이후 1708년 누락된 부분을 모아 보유(補遺)편을 만들어 붙였고, 1752(영조 28)에 다시 증보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용성지는 모두 112책이다.

1921년에 승지 이병혁(李秉爀)은 김교우(金敎友)등에게 용성지속편을 편찬하도록 부탁했다. 이들은 원 용성지에 누락된 부분과 원 용성지편찬 이후에 변한 내용들을 묶어서 속편 135책을 만들어 원 용성지와 함께 묶었다. 그래서 용성지는 현재 원 용성지와 속 용성지를 합하여 257책으로 전해온다.

용성지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 이상의 다양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그 안에는 남원의 산천과 형승에 관한 내용이 있고, 마을과 성씨에 관한 내용이 있으며, 성곽과 누정에 관한 내용, 학교와 서원에 관한 내용이 있다. 또한 시와 이야기가 있고, 효자 효부의 이야기가 있고, 진사와 생원의 이야기가 있고, 이곳에서 살고 죽은 사람의 사연이 있다.

우리는 용성지를 통해서 이곳에서 살았던 사람들이 어떤 사연을 지니고 살았는지 알 수 있다. 개인의 문집이나 구전되어 오는 이야기를 용성지의 기록과 함께 묶으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종합적인 남원의 옛 모습을 재구할 수 있다. 남원이 새로운 콘텐츠를 찾으려고 할 때 그것은 어느 무엇보다도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우리고장 남원이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역사문화의 대표적인 고장으로 300여년 이상을 활용하고 있음이 용성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남원이 있기 까지는 용성지라는 기록물과 선조들의 슬기가 오늘에 이르렀음이다. 그런데 문제는 오늘을 사는 우리가 풀어야 할 일이다.

용성지를 1992년도 현대인들이 보도록 한글 본으로 번역을 하면서 편집과 오역, 오기, 빠진점 등이 많다는 점이나 이러한 잘못된 기록들이 각종 정보매체를 통해서 신속하게 전달되고 있으며, 일부 지식계층들에 의해서 아무런 검증 없이 상흔으로 이용되고 있어 그 전달속도마저 빨라지고 있는 현실 속에 그 왜곡의 폭만 커지고 있어 남원문화대학의 학장님이신 조수익 학장께서는 용성지를 역주하여 현대적 시각에서 쉽게 접근하는데 노력을 하였다.



   
QR CODE

총 게시물 319건, 최근 0 건
번호 제목 날짜
지리산 빨치산 대장출신 인물의 구술을 바탕으로 기록물 - 남원 출신의 빨치산 대장 최정범씨의 일대기를 그린 이야기 -○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을 당하고 해방정국에 좌·우익 충돌을 겪었던 사람의 기록○ 6·25 전쟁 당시 분단과 이념으로 비극을 겪은 지역구 남원의 향토사 차원의 기록현역 국회의원이 임기 말 지금은 전향해서 …
06-01
239
아시아태평양 젊은이들, 남원관광을 즐기다-TPO의 관광분야 글로벌 인재육성사업 한국문화체험단 50명-광한루 600년을 맞이하여 아시아태평양 청년문화체험단 50여명이 남원을 방문한다.한국문화체험단은 TPO(아시아태평양도시 관광진흥기구)의 관광인재육성사업의 일환으로 해외참가자들에게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광자원을 보고…
08-07
238
밤한울 구만리엔 은하수가 흘은다오 구비치는 강가에는 남녀 두 별 있엇다오 사랑에 타는 두 별 밤과 낯을 몰으것다 한울이 성이 나서 별하나를 쪼치시다 물건너 한편바다 떠러저 사는 두 별 秋夜長 밤이길다 견듸기 어려워라 칠석날 하로만을 청드러 만나보니 원수의 닭의소리 지새는날 재촉하네…
08-07
237
한여름 밤, 도깨비와 함께 막걸리를....[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새 집으로 이사 온 밤.비 오고 바람 불고 천둥 하던 밤.뒷산에 뒷산에 도깨비가 나와,우리 집 집웅에 돌팔매 질 하던 밤.덧문을 닫고 이불을 쓰고,엄마하고 나하고 마조 앉어, 덜덜 떨다가,잘랴고 잘랴고 마악 들어누면, 또, 탕 탕 떼구루루-퉁!위는 잡지…
08-05
236
광한루 600년 기념주간을 맞이하는 다양한 행사 치러져-기념식, 타임캡슐 이벤트, 타북행사, 학술대회, 축하공연 등 남원의 한 여름을 뜨겁게 달군 행사들 대성황-  1419년 황희 정승이 누각을 짓고 광통루라 부른지, 600년이 되는해인 2019년. 남원시는 그중 견우와 직녀가 만난다는 음력 7월 7일 칠석 전후…
08-05
235
남원 역사문화의 보고 “龍城誌”  남원은 남방의 근원이 되는 천년의 고도다. 특히 남원은 기록물이 많은데, 대표적으로 알려진 춘향전, 흥부전, 최척전(홍도전), 변강쇠전 그리고 만복사저포기 등의 고전은 물론, 전북권의 문집 중 남원 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70%이상을 차지한다고 하니 남원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07-29
234
남원시, 아름다운 도시경관 만들기 마스터플랜 준비 - 경관 기본계획 용역 착수 -남원시(시장 이환주)가 조화로운 경관, 기억되는 도시 만들기를 위한 도시경관 만들기 마스터플랜을 수립한다. 그 첫 스타트로 지난 25일에 경관관련 전문가(경관위원회)와 함께 경관계획 수립용역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이 용역은 …
07-29
233
산림일자리발전소 2019 그루경영체 120개소 모집시작!한국임업진흥원, 2019년도 산림일자리발전소 그루경영체 모집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구길본) 산림일자리발전소는 6월 20일 (목)부터 7월 23일까지 사회적경제 활동에 근간을 두고 산림소득 증대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산림관련 경영체의 창업과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2019…
07-09
232
“남원 청계리 청계고분군 주인은 누구일까”-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8일부터 발굴조사 본격 착수10여기 분포 ... 전북 동부 가야세력 밝힐 핵심 유적 남원시(시장 이환주)와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임승경)가 28일 아영면 청계리 청계 고분군 발굴조사 고유제를 올리고 본격 발굴작업에 들어간다. …
05-28
231
5.18 ~ 5.26 9일간 대강면 섬진강변 특설무대 일원섬진강 대강 유채꽃 농업경관 축제 개최“섬진강 따라 거닐며, 노랑노랑 유채꽃 물결 흠뻑 빠져보시게요”가정의 달 오월 섬진강 길을 따라 거닐며 노란 유채꽃을 볼 수 있는 ‘섬진강 대강 유채꽃 농업경관 축제’가 오는 18일부터 26일까지 9일간 섬진강 특설무대에서 펼…
05-15
230
"여름방학 청소년진로 아트캠프 참가하세요"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초중고등학생 60명 대상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은 관내 청소년의 예술융합교육을 통해 창의적인 예술인재 양성을 위한 ‘청소년진로 아트캠프’ 행사에 참여할 청소년(초 3~6학년·중·고등학생 각20명씩) 총 60명을 모집한다. 2019년 ‘청소년진로 아트캠…
05-14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Copyright ⓒ www.ygn21.co.kr. All rights reserved.     contact: ykn1212@hanmail.net
상호(법인)명: 지리산과 섬진강 세상 / 대표전화: 070-4223-4216 / 063) 625-4216 / FAX: 063) 635-4216
주소: 우)590-985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 20-17번지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박예슬